Surprise Me!

[기업기상도] 새 길 찾아 해 뜬 기업 vs 안팎 갈등에 비 온 기업

2023-02-12 0 Dailymotion

[기업기상도] 새 길 찾아 해 뜬 기업 vs 안팎 갈등에 비 온 기업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경제지표와 기업실적 모든 면에서 경기 침체의 경고가 한층 커진 한 주 였습니다.<br /><br />극복의 각오만이 아니라 문제 풀 해법이 더욱 시급해졌는데요.<br /><br />한 주 있었던 다양한 기업소식들, 기업기상도로 살펴보시죠.<br /><br />김종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 주 기업뉴스 리뷰 주간 기업기상도입니다.<br /><br />쉽지 않을 것이다.<br /><br />누구나 말하지만 해법이 마땅찮습니다.<br /><br />침체 근본원인이 외부에 있는데 그렇다고 지금 물가와 재정 상태론 돈 풀어 대응할 처지도 못돼 답답했던 한 주.<br /><br />맑고 흐린 기업 찾아 기업기상도 시작합니다.<br /><br />먼저 현대카드입니다.<br /><br />기다리던 사과 장사 채비 마쳤습니다.<br /><br />정태영 부회장 SNS에 어느날 사과가 올라오고 출근하는 직원들에게 사과 나눠준 이틀 뒤, 비접촉식 간편결제 애플페이 도입이 공식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현대카드 독점은 아니지만 선발자의 이득은 있을 전망인데요.<br /><br />애플의 숙적 삼성의 삼성페이가 독무대인 한국에서 도전자가 된 겁니다.<br /><br />애플페이 결제 가능한 단말기가 적고 아이폰이 다수도 아니며 애플 수수료도 있어 잘 될지 의문이란 관측도 있습니다.<br /><br />결과 지켜보시죠.<br /><br />다음은 한국맥도날드입니다.<br /><br />의욕있는 새 주인이 나타날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맥도날드는 세계 최강 패스트푸드지만 한국선 그렇지 않죠.<br /><br />경쟁 격심하고 적자 쌓여 7년 전에도 매각 시도했다 실패했는데요.<br /><br />수산명가 동원그룹이 사겠다며 예비입찰에 단독 응찰했습니다.<br /><br />1차 실사했고 가격협상 중인 것으로 전해집니다.<br /><br />참치버거 나온다는 우스갯말도 나오고 소식 전해진 다음날 주가도 오르고, 시각은 나쁘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양쪽이 윈윈게임이 될지 관심입니다.<br /><br />이제 흐린 기업입니다.<br /><br />첫 흐린 기업 네이버로 시작합니다.<br /><br />직장인 연봉 인플레에 한 몫한 이 IT공룡이 성과급 줄인답니다.<br /><br />코로나 기간 초호황으로 채용 급증해 연봉 크게 뛴 IT업계, 그 중심이던 네이버가 지갑 닫을 모양새입니다.<br /><br />매출 늘어도 영업이익 1.6% 줄었다고 발표한 뒤, 최수연 대표, 김남선 최고재무책임자가 직원들 성과급 축소 불만 달래기 나선 겁니다.<br /><br />경영진, 중간관리자는 성과급 없다며 매우 어려운 상황 뚫고나가야 한다고 했습니다.<br /><br />어느 조직이나 숨고르기 할 때가 있죠. 다만 작년에 대규모 인수, 제휴 잇따랐는데 그 결과가 내년도 지갑을 닫을지 열지 관건이 될 듯 합니다.<br /><br />다음은 원조 K팝 왕국 SM엔터테인먼트입니다.<br /><br />경영권 둘러싼 갈등이 표면화했습니다.<br /><br />SM이 한 주 전 대주주 이수만 총괄프로듀서 독점 프로듀싱을 5개 제작센터와 내,외부 레이블의 각자 프로듀싱 체제로 바꾸는 계획 내놨습니다.<br /><br />카카오가 지분 9%대 확보해 2대 주주 된다는 발표도 있었죠.<br /><br />그러자 외국 있던 이수만 대주주가 법적 책임 묻겠다며 급거 귀국한 뒤, 자신의 1대 주주 지분을 방탄소년단 소속사 하이브에 넘긴답니다.<br /><br />그야말로 혼전입니다.<br /><br />결론은 지켜봐야겠지만 갈등이 곧 끝날 것 같진 않은데요.<br /><br />이 때문에 전성기 맞은 K팝이 타격 받는 자살골은 피해야 합니다.<br /><br />이번엔 신한,KB,하나,우리 등 4대 금융그룹입니다.<br /><br />이자 장사로 돈 쏟아지자 정부가 "과실 나누라"며 압박나섰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로, 고물가로 힘들었지만 은행 중심 대형 금융그룹들은 딴세상이었죠.<br /><br />고금리,수수료 덕에 작년 신한,KB,하나,우리 4대 금융지주 순익이 무려 16조원대, 여기까진 좋았는데 정치권과 여론 압박 이어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이 문제 공개 거론했습니다.<br /><br />은행의 막대한 이자이익은 과점체제 덕이니 과실을 나눠야 한다는 겁니다.<br /><br />과점 더 심한 규제산업 정유는 법에 근거도 있으니 부담금 거둬 저소득층 지원하자는 주장을 정부가 막아주는데 은행은 정부가 먼저 나누라고 하는 게 차이입니다.<br /><br />마지막은 LG U+입니다.<br /><br />속출한 사고로 난감한 상황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29만명 개인정보유출로 경찰이 수사 들어가더니 1월과 이달 초 유선망 마비 두 번 일어났습니다.<br /><br />디도스 공격으로 추정됩니다.<br /><br />심상찮은 상황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강력 경고하며 특별조사 들어갔고 국회 상임위도 이 문제를 논의했습니다.<br /><br />회사는 정보유출 피해자에겐 유심 무상교체, 영업 못한 소상공인에는 요금감면 검토한다고 국회서 밝혔는데요.<br /><br />보상과 함께 확실한 재발방지책이 답입니다.<br /><br />25년여 전 외환위기 닥치자 분식회계 속 기업 부실이 한순간에 터졌죠.<br /><br />부실은 이렇게 들통나게 마련입니다.<br /><br />공공요금 이어 노인 무임승차 갈등이 진행중인데요.<br /><br />재정이든, 요금 인상이든 빈 부분 안 채워넣으면 다음은 공공부문 부실이 문제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주간 기업기상도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